본문 바로가기
생활 팁

고속 충전과 스마트폰 배터리: 성능 저하와 보호 방법

by 럭하 2023. 5. 30.

고속 충전 기능은 최신 스마트폰에서 매우 인기 있는 기능 중 하나입니다. 사용자들은 낮에도 짧은 시간 안에 완전 충전을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그러나 충전 속도의 증가에 따라 사용자들은 걱정도 가지고 있습니다. 고속 충전이 휴대폰 배터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해답을 알아보기 위해 고속 충전이 휴대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배터리 손상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이미지
스마트폰 충전

고속 충전 기술과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 과정과 영향에 대한 이해

스마트폰의 충전 과정은 리튬 이온 배터리나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이 두 배터리는 구성 요소로 음극, 양극, 그리고 전해질을 가지고 있으며, 전력을 스마트폰에 공급하기 위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는 음의 리튬 이온을 활용합니다. 배터리가 방전되면 리튬 이온의 흐름이 멈추게 됩니다.

 

충전 과정에서는 리튬 이온이 다시 음극으로 이동하여 배터리 사이클을 재개합니다. 배터리는 스펀지와 유사한 원리로 작동하며, 충전 과정은 선형적이지 않습니다.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상태일 때는 가장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며, 배터리가 거의 가득 차면 에너지 흡수가 줄어듭니다.

 

이에 따라 충전 효율이 감소하고 충전 곡선이 더 평평해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반면 충전 전압은 최대 전력에서 시작하여 빠르게 감소합니다.

 

고속 충전과 스마트폰 배터리: 열의 영향과 예방 조치

스마트폰 배터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모됩니다. 모든 배터리는 리튬 이온의 흐름으로 인해 약간의 열을 방출하며, 화학 공정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이로 인해 비효율적인 충전은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키므로, 배터리가 충전 상태에 가까워질수록 계속해서 충전기에 연결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아이폰을 예로 들면, 설정 메뉴의 '배터리' 항목에서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여 사용 가능한 최대 배터리 용량을 백분율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배터리의 자연적인 마모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열은 배터리 성능 감소의 주요 원인입니다.

충전 시 더 큰 전류가 흐를수록 열이 더 많이 발생하므로, 많은 사용자들이 '고속 충전' 기능으로 인한 열 문제를 우려합니다. 급격한 열 발생으로 인해 전해질이 결정화되고 전극 사이의 이온 전류가 차단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을 인식한 제조업체들은 고속 충전 시 발생하는 열을 통제하기 위해 다양한 예방 조치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배터리 손상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충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고속 충전과 스마트폰 배터리: 성능 저하와 보호 방법

고속 충전 기능을 위해 다양한 표준이 개발되었으며, 파워 서플라이의 전송 전력을 높이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퀄컴의 퀵차지 프로토콜은 버전 5에서 약 100와트의 충전을 지원합니다. 원플러스의 워프차지(WarpCharge) 기술은 65와트 충전을 지원하며, 오포의 VOOC 플래시 차지(Flash Charge)는 같은 그룹에 속하는 기술입니다. 

 

USB 파워 딜리버리, 어댑티브 차지(삼성), 터보파워(TurboPower, 모토로라) 등도 고속 충전 표준으로 사용됩니다. 배터리 보호를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해결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통합 전원 관리 기능이 있는 파워 서플라이: 고속 충전 기능이 있는 많은 스마트폰은 열 에너지가 발생하기 전에 파워 서플라이에서 발산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어댑터의 크기가 커질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 병렬 충전: 전체 전류를 하나의 배터리 셀로 보내는 대신, 두 개의 병렬 셀로 나누어 전류를 공급합니다. 이는 통합 전원 관리 기능과 함께 사용되어 최상의 충전 성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단점은 총용량이 다소 낮아지는 것인데, 배터리 셀 두 개가 차지하는 공간이 더 넓어지기 때문입니다.
  • 추가 냉각 하드웨어: 냉각 시스템은 열 축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수한 냉각 시스템은 과열 없이 더 많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열 차폐, 증기 챔버, 팬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며, 게임용 스마트폰에서는 전체 팬이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고속 충전은 스마트폰 배터리를 손상시키는 것일까요? 위에서 언급한 해결책들이 효과가 있는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성능이 어느 정도로 감소해야 "손상되었다"라고 간주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도 필요합니다. 이에 대한 공식적인 업계 표준이 있습니다. 

 

샤오미는 홍미 11T Pro(120와트 고속 충전 지원)의 경우 800회 완전 충전 후에도 배터리 용량의 80% 이상이 남아있음을 보증합니다. 애플은 500회 충전 후에도 80%의 용량을 약속하고 있으며, 오포는 240W SuperVOOC 기술을 도입하여 1,600회 이상의 충전 후에도 80%의 배터리 용량을 제공합니다.

고속 충전은 배터리를 망치지 않는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속 충전이 배터리의 정상적인 마모를 가속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고속 충전 자체가 휴대폰 배터리에 해로울 것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고속 충전은 더 높은 전력을 사용하여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키므로,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제조업체들은 이를 위해 최적화된 파워 서플라이, 병렬 충전, 스마트 하드웨어 및 온도 조절 센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에너지 관리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휴대폰 배터리의 수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사용자의 행동입니다.

따라서 휴대폰 배터리를 더 오래 사용하고자 한다면 다음 팁을 따를 수 있습니다

 

  • 가능하면 유도 충전 기능을 사용하는 대신 항상 충전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 완전 방전을 피하고, 배터리의 최적 용량 범위는 20~80%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된 상태(60% 이상)에서는 충전을 하지 않습니다.
  • 극심한 온도 변화를 피하며, 더위나 추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배터리를 보호합니다.
  • 항상 제조업체에서 제공한 충전 액세서리(전원 어댑터, 충전 케이블)를 사용합니다.
  • 성능 집약적인 앱이나 게임을 실행 중일 때는 충전을 하지 않습니다.
  •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 오랫동안 꽂아 두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이러한 팁을 따르면 휴대폰 배터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